알뜰 교통카드 신청과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도보로 이동하는 거리를 축정하여 마일리지를 지급해 주는 방식으로 카드자체 혜택과 마일리지 적립으로 30% 정도의 힐인을 받을 수있습니다.
1.알뜰 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할 목적으로 해당역까지 걷거나 자전거를 통해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를 적립해주는 사업으로 해당 카드사의 할인혜택까지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30%가량 절약할 수 있는 카드를 말합니다 .
마일리지 적립 방식은 사용자가 출발,도착 버튼을 직접 눌러서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과 자주 이용하는 구간을 즐겨찾기로 설정하여 측정하는 방식. 동의여부에따라 도보수 측정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입니다.
2. 알뜰 교통카드 혜택과 기준
마일리지 적립기준, 지급방법.
마일리지 지급은 일반, 청년, 저소독층으로 나누어 이동거리에 따라 적립되는 방식이며 이동거리 확인 블가시 최소 망리리지인 50원이 적립되는 시스템입니다.
일반층 적립 최소 250원~최대 450원 적립되고, 청년층은 최소 350원~ 최대 650원 적립, 저소득층은 최소 700원~최대1100원이 적립됩니다.
청년층은 만 19세~34세 기준이며 저소득층의 기준은 기초생활주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의미합니다.
마일리지 적립을 위해서는 한달에 대중교통 이용이 15회 이상 되어야 적립가능하며 최대로는 월 60회 까지 적립됩니다.
한달동안 쌓인 마일리지는 신용카드의 경우 청구할인되며, 체크카드 이용자는 계좌입금 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쌓인 마일리지와 별로도 카드사 혜택은 별도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2. 알뜰 교통카드 신청 , 홈페이지 바로가기
2023년 7월 1일부터 플러스 사업 시행으로 혜택이 더욱 풍부해졌습니다. 알뜰 교통카드 신청은 기존 6개 카드사에서 11개로 늘어 선택의 폭이 다양해져서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졌습니다.
해당 발급사 카드에 따라 혜택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신한, 우리, 하나, 로카, 티마니, DGB, 국민, 농협, 비씨, 삼성, 현대 카드사에서 신청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로 선택하여 신청 하시면 됩니다.
대부분 카드 혜택은 교통비 10%, 그 외 생활 할인 5%의 혜택이 있습니다.
특정 은행, 카드사를 이용중이시라면 주거래 발급처 홈페이지 또는 어플에서 따로 신청 가능하며, 혜택을 한번에 비교하고 싶으신 분들이라면 '알뜰 교통카드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비교해 보시면 한눈에 보실 수 있습니다.
비교를 한 후 자세한 혜택이 궁금하시면 원하시는 발급처 카드롤 고르시고 클릭 하시면 자동으로 연결되어 편하게 비교가 가능합니다.
또 발급시 캐시백, 네이버페이 지급, 기프티콘 지급 등 각 발급처 별로 이벤트를 진행 하는 곳 도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혜택으로 발급하시면 더욱 알뜰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이벤트로는 발급처 신규 이용 고객 이벤트로 캐시백 혜택 삼성 최대 8만원, 국민과 신한 5만원 캐시백 혜택이 있습니다.
3. 알뜰교통카드 사용법
알뜰교통카드 사용법은 먼저 알뜰교통카드 발급을 해주시고 휴대폰에 어플을 설치 해줍니다. 가입한 후 어플 또는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해주시면 되는데 이때 저소득층이라면 별도의 증빙자료를 제출이 필요합니다.
가입을 완료 하셨다면 출발지(집)에서 앱의 '출발'버튼을 눌러주신후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곳까지 도보 또는 자전거 등을 이용하고 이동해 주신 후 발급받은 카드를 사용 후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하차를 찍은 후 목적지 까지 이동해주시면 됩니다. 목적지에 도착을 하신 후 앱의 '도착' 버튼을 눌러주시면 완료 됩니다.
마일리지 적립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출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은 경우 내역이 생성되기까지 2주가 소요 될 수 있습니다.
2023.07.01 부터 즐겨찾기 기능이 추가되어 출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사용자가 설정한 주소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할 경우 자동으로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합니다.
깜빡하고 버튼을 누르지 못하더라도 이동한 도보수가 측정되어 적립되어 더욱 편리해졌습니다.